Page 66 - EV_Magazine_Vol_13.pdf
P. 66

EV Special Focus



































                                      으로 국가적 에너지 아젠다에 대한 연구를              결과는 전 세계적 관심을 모을 것으로 예
                                      리딩하는 의미가 있는 것인지.                    상된다. 구체적으로 연구할 분야를 소개한
                                      탄소중립과 수소에너지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             다면.
                                      는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그린 청정 또는 그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 전략으로
                                      수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 수소의 경제성 확           이산화탄소의 자원화, 인공광합성, 바이오매
                                      보를 위해 수소의 대량생산 및 공급 인프라의            스 전환 및 바이오연료 기술이 핵심으로 부상
                                      구축이 절실한 상태여서 관련 R&D의 수요가            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촉매,
                                      증대되고 있다.                            전기화학, 광전환, 생물공정 기술들이 활발히
                                      탈탄소화의 핵심인 수소에너지경제에 대한 주             연구되고 있다. 우리 대학원의 ‘환경·기후기
                                      요국의 관심은 매우 높아, 각국은 수소에너지            술’ 연구 분야에서는 화학물질과 에너지의 생
                                      경제 관련 기술개발에 경쟁적으로 투자하고              산과 소비가 지구환경 시스템과 인류사회를
                                      있는 실정이다. 우리 정부도 ‘40년까지 수소           위협하는 요소들을 저감시키고, 궁극적으로
                                      에너지경제의 선도국으로 발전한다’는 목표              제거할 수 있는 공학적 해법들을 탐구하는 연
                                      를 수립하고, 전주기 수소기술개발 및 산업 육           구개발 및 교육에 중점을 두고 대학원 프로그
                                      성을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렇게 유발된           램을 구성할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에 의한 기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은 향후 경제, 산업, 사            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저감/포집/자원
                                      회·문화적 큰 변화를 주도할 것이며, 막대한            화, 인공광합성, 바이오 연료, 인공태양 등 탄
                                      경제적 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소중립 기후변화대응기술 전봔과 에너지/자
                                      대학에서 배출한 이 분야의 전공자들은 향후,            원 사용·전환에 수반되는 제반 환경문제들의
                                      새로운 에너지경제 시스템의 전환을 직접 이             근원적 해결을 목표로 하는 신소재/공정/융합
                                      끌어 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기술 등을 통합적으로 다룰 것이다.


                                      -                                   -
                                      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로 결국 에너지 문              KENTECH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
                                      제로 귀착될 수밖에 없는데, KENTECH             한 계획 가운데 중요한 방향이 글로벌 선
                                      의 에너지와 환경, 기후기술에 대한 연구              도 대학 및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