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EV_Magazine_Vol_13.pdf
P. 69

EV  66  | 67







               보를 통해 글로벌 연구 경쟁력 확보 ▲ 가치창출 기반             획이다.
               교수지원체계 구축 등 미래 성장동력에 필요한 인적자              교육방법은 강의실·이론형 중심이 아닌 현상 속에서
               원 확보를 기본 방향으로 교원을 채용하고 있다.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에너
               현재 글로벌 수준의 대학과 연구기관 그리고 산업체에              지 프로젝트 기반 IBLInquiry Based Learning  학습
               서 경험을 쌓은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교원들을 초빙              으로 탐구형 인재를 양성하겠다.
               하고 있다. 특히 세계 석학급 교수, 젊고 패기있고, 유           전  학년  생활과  학습이  공존하는  기숙사형  교육
               능한 교수를 초빙하는데 투자와 열의를 아끼지 않고               (Residential colleage) 특성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있다.                                       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도 중요한 과정으로 꼽
                                                         고 있다.
               -                                         학생 맞춤형으로 학습과 생활을 지원하고, 연구개발·
               궁극적으로 KENTECH이 목표로 하는 인재상은.               창업형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대외 프로그램을 제
               켄텍은 세계 유일의 에너지 분야 특화대학으로서 설립              공할 예정이다. 학습관리시스템과 대학·기업 공동연구
               단계에서부터 4차 산업혁명 시대, 시대가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 참여, 장학금 및 기숙사 혜택, 해외 인턴십
               새로운 인재 양성, 고등교육의 근본적 변화 등에 대한             등에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겠다.
               요구가 반영된 혁신대학이라는 점에서 국내외 타 대학
               과 차별화된다.                                  -
               따라서 켄텍은 인재상을 ‘인류 공영을 위한 미래 에너             개교 초기 우수 학생 유치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
               지개발에 도전하는 탁월한 연구역량과 기업가 정신,               할 필요도 없는데, 이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구체
               글로벌 시민의식을 갖춘 인재’로 정하고, 미래 에너지             적인 계획은.
               기술개발과 창업에 도전하는 미래지향적 핵심역량인                켄텍은 전통적 다학과 체제가 아닌 에너지공학 단일학
               ‘수학적 사고’와 ‘인문적 통찰’, ‘협업적 소통’을 키우          부를 운영하여 학생이 전공선택 없이 에너지 중점 연
               는 교육을 추구한다.                               구분야 5개 트랙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
               따라서 우리 대학에서 학생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정원의 90%를 수시로, 10%를 정시로 선발해 주도적
               있는 능동적이고 창의력을 갖춘 인재로 육성하는 것이              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수시의 경
               매우 중요하다.                                  우 1단계 서류평가(학생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에서
                                                         50%, 2단계 면접 전형에서 일반면접과 창의성 면접
               -                                         의 비중을 30:70으로 전형할 예정이다.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목표에 걸맞은                  창의성 면접은 답이 없는 문제를 줬을 때 학생이 어떻
               교육과정이 중요하다. 어떻게 구성할 계획인지.                 게 사고를  하는지 등으로 살펴보게 된다.
               켄텍은 학생이 지식습득을 넘어서 스스로 개념과 의미              한 학생당 창의성 면접시간은 55분(사전문제분석 30
               를 이해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하도록 전 과정에 걸쳐              분+ 면접 평가 25분)이 될 것이며, 10% 정시에는 수
               역량 기반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학, 과학탐구(1과목) 2개 영역 합 3등급 이내 및 영어
               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육과목 설계, 글로벌 프로그램,              2등급 이내 등으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여 선
               진로특화과정(연구, 창업)을 통해 학생들은 에너지 연             발할 계획이다.
               구자와 창업가로의 꿈을 키워갈 수 있다.
               기존 전공과 교양 모델에서 탈피하여 전공 선택 없이              -
               5개의 에너지 트랙과정 내에서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              교육 수준의 글로벌화에 걸맞은 대학 구성원과
               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생의 단계별 성장을 지원하              캠퍼스의 글로벌화도 구상하는 것으로 알고 있
               는 역량기반 커리큘럼을 제공하겠다.                       다. 인적 구성의 다양화와 글로벌 캠퍼스로 함축
               1학년은 기초역량과정을, 2, 3학년은 에너지역량과              된 글로벌화 계획을 설명해 달라.
               정, 4학년은 진로특화과정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할 계              먼저, 개방-공유-협력형 글로벌화 방안이다. 에너지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