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EV_Magazine_Vol_13.pdf
P. 71
EV 68 | 69
단말기를 보급한다. 원천·실용연구 기반 기업과 함께 창업과 산학협력 추
또 I-Library Service로 e-Book, e-Journal 서비스 구, 사회·경제적 가치(신산업·일자리)를 창출하겠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Cafe형 단말기도 사용할 수 있는 창업경진대회를 공동 개최하고 창업을 공동 지원하는
환경을 구축하겠다. 한편, 창업기업 맞춤형 코칭(수익모델, 마케팅 등 수
지능형 Education Service를 제공받는 고정형/휴대 립), 성공한 창업가와의 멘토링, 투자자 네트워킹, 경
용 인프라 설비를 갖춰 I-Learning Service를 구현할 진대회 등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계획이다. 켄텍 클러스터 구성원이 보유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창업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인력 확보도
- 지원할 방침이다.
KENTECH은 단순히 교육과정 구현을 넘어 산학 에너지산업 발전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글로벌
연 메가 클러스터 조성을 지향하고 있는데, 밑그 연구기관 및 대학 유치 노력을 통한 글로벌 에너지 연
림은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구와 창업 허브를 지향하겠다.
말씀하신 대로 산학연 클러스터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 허브는 개방·공유·협력의 에너지 연구를 위한 오픈 플
연구중심 커리큘럼을 구성하겠다. 랫폼을 모델로 하고 있다. 특화연구분야별로 세계 선
연구개발 및 창업 중심의 실전형 인재 양성을 위해 도 대학과 연구소를 대상으로 ‘공동 연구소 1개 이상’
PBL(프로젝트 중심 기반학습), 온라인 교육, RC 운영 설립, ‘연구인력 교류·양성 파트너십 1개 이상’ 구축
을 계획하고 있다. 및 ‘R&D 과제 해외수탁 비중 2%’ 달성 등의 목표를
미국 코넬텍,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처럼 연구 성과 세워 추진하겠다.
물을 바탕으로 취업형이 아닌 연구개발 및 창업 중심 장기적으로는 에너지분야 글로벌 선도 대학 및 연구기
의 실전형 인재를 양성해 산업계가 활용하는 모델을 관과의 협력을 통해 켄텍의 연구역량을 세계 수준으로
제시하겠다. 도약시키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글로벌 정주여건 확보도 중요
-
KENTECH 산학연 클러스터는 전 세계 대학과 IT·에너지 특성화 시범학교와 광주외국인학교 보강 등
연구소, 기업이 모이는 공동 연구와 창업의 플랫 을 통해 글로벌 정주여건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계획
폼 역할이 지향점이라고 밝히고 있는데, 이를 구 중 하나다.
체화할 계획은. 우수한 연구소 기업 유치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
이 같은 계획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재원이 중요 공하려고 한다. 클러스터 지역 내 공동장비센터도 구축
하다. 정부, 지자체, 민간의 건립비 및 공동연구비 지원 해 외부기관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을 바탕으로 연구기관 유치 시 정부, 전남도, 에너지 유 계획이다.
관 기업의 재정적 지원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및 지자체 혁신거점 유치를 통한 금
이어 산학연 클러스터 정착을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 융·세제지원을 이끌어내고 공동캠퍼스 내 외부 인력
하고 있다. 정부‧지자체 차원의 특별 육성 정책 추진 이 불편함 없이 지낼 수 있는 숙박 및 편의시설도 마
이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면서 켄텍의 산학연 련하겠다.
협력 거점화를 이뤄나가겠다. 이와 함께 정부 및 지자체 혁신거점 유치를 통한 금융·세
‘강소연구개발특구’ 내의 클러스터를 융합 공동연구와 제지원을 이끌어내고 공동캠퍼스 내 외부 인력이 불편함
창업이 활성화되는 환경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없이 지낼 수 있는 숙박 및 편의시설도 마련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