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 EV_Magazine_Vol_13.pdf
P. 70
EV Special Focus
특화 강소대학이라는 켄텍의 특성상 활용 가능한 자원 비슷한 사례로 북미 최대 클러스터인 Research
의 분야와 규모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방-공유-협 Triangle Park(RTP) 내 대학들은 Research Triangle
력형 글로벌화 추진은 필수적이다. Institute(RTI)라는 연구재단을 공동 설립하여 공동연
켄텍의 연구역량과 인적자원을 국내외 대학, 기업 등 구, 인적교류를 활성화하고, RTI가 글로벌 기업과 대
에 모두 ‘개방’하겠다. 지구 온난화 같은 전 지구적 에 학들을 연결하여 협력을 촉진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
너지 난제 해결을 위해 기술, 인문 등 다양한 전공분야 하고 있다.
를 아우르는 세계 구성원과 ‘공유’하여 공통된 목표를 언어/문화 장벽이 없는 글로벌 캠퍼스 구축도 중요한
설정하겠다. 방향이다.
또 다양한 글로벌 주체들과 ‘협력’을 통해 에너지 난제 외국인 학생 비율을 편제완성 시점인 2025년까지 정
를 해결하는 데 켄텍의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 원 1000명 기준의 30% 수준인 300명으로 설정하고,
다음은 플랫폼형 글로벌화이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를 행정, 강의 등 캠퍼스 내 모든
에너지 분야의 모든 글로벌 주체(대학/기업/연구소 언어로 공식화하면서 전공은 100% 영어 강의로 진행
등)가 참여하여 인류 에너지 난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지원하는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외국인 교원비율을 국내 최고 수준인 15%로 높여 글
각 주체는 독자적으로 보유한 자원, 역량을 활용해 차 로벌 인재양성,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 등 교육·연구 글
별화된 글로벌화를 추진하되, 취약분야는 플랫폼을 통 로벌화를 도모하겠다.
해 외부자원을 활용하여 보완할 계획이다.
제로에너지·친환경 기술 도입
최첨단 스마트캠퍼스로 특화
-
세계 초유의 에너지 특화 대학이어서 캠퍼스 특 측면 ▲에너지 교육/연구 특화적 측면 ▲에너지 기술
화에 대한 관심도 높다. 에너지특화 및 융복합스 사업화 측면 등 3가지 주요 핵심 영역의 지원이 가능
마트캠퍼스 구축 계획을 소개한다면. 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캠퍼스는 교지 40만㎡, 교사 15만5000㎡로 구성되 국제화 인프라의 경우 다국어 지원 인터페이스, 글로
며 최첨단 시설을 갖춘 스마트 캠퍼스를 콘셉트로 제 벌 네트워크 및 프로그램 활용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로(0)에너지 및 친환경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에너지 특화 교육/연구
캠퍼스 설계의 주요특징으로는 연구·교육에 소통과 상 프로그램(i-learning)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
호작용 촉진이 가능하게 하는 중정형 건물배치와 기숙 행정업무 정보화 고도화를 통해 기술사업 지원기능을
사형 교육을 위한 Residential College 구축, 그리고 강화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프로세스를 설계하겠다.
캠퍼스 내 어디서든 온라인 학습 가능한 ICT 교육 인 특히 학사행정은 ‘Smart One-stop Service’ IT시스
프라 구축 등을 꼽을 수 있다. 템 구축을 통해 모든 사용자에게 시간, 장소, 접속기기
또한 주요 강의시설로 역량향상을 위한 실습과 토론중 에 대한 제한 없이 한국어와 영어 등 다국어 지원(한국
심 교과과정에 최적화된 오픈형 PBL 강의실, 다학제 어, 영어)이 가능할 것이다.
교수의 융합티칭이 가능한 Signature Classroom, 자 여기에 5G 기반의 고도화된 시스템 구축을 통해 사용
기주도 프로젝트 수행공간인 Maker Space 등 교육 자-담당자간 대면 업무를 최소화시켜 업무 효율을 높
과정에 특화된 강의실을 구성하여 대학의 역량중심 교 이겠다.
육과정을 지원하겠다. 구체적으로는 I-Cloud Service를 도입해 IT시스템에
스마트 캠퍼스의 IT시스템 및 IT인프라는 ▲국제화적 접속할 수 있는 공용/개인용, 고정형/휴대용 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