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4 - EV_Magazine_Vol_13.pdf
P. 64
EV Special Focus
-
개방과 혁신, 연합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동연구를 활성화하고, 대학을 구성하는 인적 자원의
실험이 아닌 현실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는데 다양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KENTECH이 다른 대학들과의 차별성은 어떻게 이를 위해 전 과정 영어강의, 이중언어 행정체계 구축,
구현할 계획인지. 글로벌 경험 확대 등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시스템
연구 분야의 경우 에너지 연구 자원의 집적·공유를 통 과 문화도 구축해 나가겠다.
해 미래 신기술 개발과 사업화로 이어지는 도전적·고 세계 유일무이 에너지 분야 특화 대학으로서 글로벌
난이도의 연구를 수행하겠다. 에너지 신기술 5대 분야 연구 선도, 창의적 인재양성, 네트워크 구축의 기반을
의 국내외 혁신 기업, 연구소, 대학과 협력하여 에너지 확보하는 데 주력하겠다.
난제를 해결하는 고급인력과 기술을 키워내겠다. 대학 공학교육의 혁신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에너
차세대 그리드 분야는 한전이 보유하고 있는 전력 빅 지 융복합 분야 글로벌 전문인력 육성 및 엘리트 네트
데이터와 전력연구원, 에너지신기술연구소, 고창전력 워크를 구축하고 차별화된 교육과정, 연구 및 산학협
시험센터 등의 연구 인프라를 연계해 활용하겠다. 한 력 등을 기반으로 기존 대학과 공동성장 및 혁신을 공
전이 응용·상용화 기술을 연구하고 대학은 기초·원천 유하겠다.
연구를 수행하는 역할 분담으로 기술을 고도화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켄텍의 교육은 미래형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KENTECH의 5대 중점 연구 분야를 보면 에너지
교육을 시도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다. 특화 대학의 방향을 읽을 수 있는데, 이들 중점
연구와 일체된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법인 PBL을 전면 연구 분야를 선정한 배경은? 중점 연구 분야 가
도입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발굴과 해결 능력을 강화 운데 에너지 AI를 선정한 이유는.
하겠다. 에너지 산업은 파급력이나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또 Residential College(기숙형 대학)를 운영해 다양 기여도가 크지만 난이도가 높고 융복합 특성으로 인해
한 팀 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통·협력 등의 역량을 배양 연구 잠재력이 높은 5대 중점 영역을 선정하게 됐다.
하는 생활환경도 조성할 계획이다. 기술 중요도, 정책 부합성, 성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총
대학의 글로벌화 역시 뒤로 미룰 수 없는 영역이다. 기 6개 항목을 선정한 후, 에너지 정책 기술전문가 20인
업-연구소-대학이 모여드는 ‘연구·창업 플랫폼’으로 을 대상으로 AHP 평가를 통해 에너지 AI, 에너지 신소
써 에너지 기술 분야의 글로벌 교류·협력을 주도하는 재, 수소에너지, 차세대 그리드, 환경·기후기술 분야를
역량을 배양하고 역할을 수행하겠다. 해외기관과의 공 최종 선정했다.
연구분야 선정지표
기술 중요도 정책 부합성 성장 가능성
▼ ▼ ▼
기술 기술 한전공대와의 정부정책 산업 시장
혁신성 파급력 부합성 부합성 파급성 유망성
에너지 AI 연구의 경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적으 로 인해 다양한 분야가 파생됨에 따라 에너지 AI 분야
로 리딩하기 위한 연구로서, 에너지와 ICT기술 융합으 의 중점 연구가 시급한 실정을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