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EV_Magazine_Vol_13.pdf
P. 65
EV 62 | 63
컴퓨터 기술, 인공지능, 기계학습 분야의 역량 다. 또한 중장기 관점의 산업적·기술적 임팩트
있는 전문가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 를 고려하여 에너지하베스팅, 센서, 스핀트로
으나, 전문가의 공급은 그 수요를 충족시키기 닉스, 뉴로모픽 소재·소자, 발전용 특수 소재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에너지 분야와 강하게 등으로 연구 분야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결합된 컴퓨터 전문가는 국내 뿐 아니라 전 세
계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원천 및 응용기술 -
의 비약적 발전이 전망되는 가운데 인재의 부 에너지와 신기술을 융합해 미래 전력망을
족 상황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구현하는 차세대 그리드도 중요 연구 분야
에너지 AI트랙의 핵심 가치는 사회 경제적 요 로 꼽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가.
구를 충족시키는 고차원의 독창적인 연구를 직류 그리드(DC Grid)기술은 대규모 해상풍
통해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는 원천 컴퓨팅 분 력을 연계한 초고전압(Ultra High-Voltage)
야의 전문가, 에너지기술 응용 분야의 세계적 부터 DC 마이크로 그리드와 같은 저전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Low-Voltage)까지 전력계통 전반에 적용되
고 있다. 또한 전력변환설비의 가격이 하락함
- 에 따라 기존 교류 전력망은 점차 직류로 전환
두 번째가 에너지 신소재 핵심기술 연구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직류 그리드 기술에
다. 국가 경쟁력과 밀접한 분야로 읽힌다. 대한 필요성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어떤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지. 관련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에너지 생성·변환·저장, 효율 향상 분야 등을 날로 복잡해지는 그리드를 효과적으로 분석
중심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고 기술·산업·시장 하기 위해, 그리드의 기능을 컴퓨터로 구현하
임펙트가 큰 미래 소재와 전자 소자 원천 기술 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디
및 산업 응용 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털그리드(digital grid)혹은 피지털 그리드
중점 연구 분야는 차세대 태양전지, 차세대 이 (Physital grid) 라고 표현할 수 있는 컴퓨터
차전지, 전력반도체 분야이며, 소재의 근본 원 시뮬레이션 기반 그리드 운영은 앞으로 차세
리 이해에서 출발하여 신소재 실현에 이르기 대 그리드를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툴이 될 것
까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방법론을 도 으로 예상된다.
입하여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소재 연구를 수 또한, 날이 갈수록 전력 사용량은 늘어나고 기
행할 계획이다. 존의 다양한 기기들이 전기장치로 전환되고
향후 산·학·연에 진출하여 핵심 인력으로 성장 있다. 이에 고용량 전기를 다룰 수 있는 전력
할 수 있도록 원천 소재 연구 외에도 실제 산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업상 응용을 위한 원료-소재-부품/디바이스- 차세대 그리드 전문가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
모듈/시스템-소재 리사이클링 등 전 주기에 세대의 그리드를 담당하게 될 핵심 인력이 될
걸친 융합 역량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 것이다.
수소 에너지 기술개발 확대
수소경제 실현 집중 R&D 필요
-
최근 글로벌 이슈 가운데 하나가 탄소중 립 시대를 견인하는 수소에너지다. 결과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