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29
EV 26 | 27
세부적으로는 전국 197개 모든 고속도로 휴게 친환경차 시스템 개선에 2025년까지 700억
소에 충전기 설치를 늘려 2025년에는 15기씩 원을 투입한다. 또 350Wh/㎏급 전고체전지
공급할 계획이다. 배터리 모듈 개발에 151억원, 차세대전지용
24시간 개방하는 한전 66개 지사내 충전기도 400Wh/㎏급 소재부품장비 요소기술 개발에
현재 103기에서 내년에는 228기로 2배 이상 300억 원을 오는 2024년까지 투자한다.
확대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대여해서 쓰고 나중에 반납하
수소차충전소는 올해 72기에서 2025년 450 는 배터리 리스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기로 확충한다. 특히 수요가 몰리는 서울 및 수 이 사업을 활용하면 차량 가격에서 배터리 가
도권에 충전소를 집중적으로 늘려 현재 13기에 격이 빠져 소비자의 보조금 수령 후 구매 가격
서 내년 53기, 2022년까지 80기를 구축한다. 이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대폭 낮아진다고 정
이를 위해 공공유휴부지 발굴을 확대하고 충전 부는 설명했다.
소 인허가권을 현행 기초지자체에서 광역 및 아울러 환경 개선 효과가 큰 택시, 버스, 트럭
정부 담당부처로 상향할 방침이다. 등 상용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이 확대된다.
사업자들의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 메가스테 전기택시에 200만 원의 보조금을 추가로 지급
이션 등 신사업 모델을 확산하고 수소연료구입 하고 전기버스는 최소 자기부담금을 설정한다.
비를 한시적으로 지원한다. 전기트럭은 지원 대수를 내년 2만5000대 규
주차 편의를 위해 공공기관과 공영주차장 등 모까지 확대한다.
공공시설에 우선적으로 친환경차 전용주차면 수소버스는 현 보조금 단가(국비 1억5000만
을 대대적으로 확충한다. 원)를 유지하며, 수소트럭 국가보조금을 2억
차량가격 인하를 위해 정부는 민간과 협력해 원 규모로 신설할 예정이다.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수요 창출을 위해 렌터카, 대기업 법인차량 등
개발(R&D)을 진행하고 전용 플랫폼을 개발· 민간 부문에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도입한다.
적용하기로 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전기·수소차로 전환하는
이를 통한 원가 절감으로 2025년 전기차 단가 ‘EV 100’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포스코 등은
를 지금보다 1000만 원 가량 인하한다는 계획 지게차, 버스, 트럭 등 보유차량을 2030년까
이다. 지 수소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정부는 구동부품 성능을 높이고 부품 및 소재 아울러 내년부터 주요 공공기관장 차량을
를 국산화하면서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50% 100% 전기·수소차로 구매하도록 할 방침이
이상 개선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다. 기관 업무용 차량의 전기·수소차 의무 구매
단가 인하를 유도한다. 비율도 내년 80%에서 단계적으로 상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