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30
EV Issue Focus 대한민국 미래차 비전
전국 지자체는 관할지역 버스와 트럭 등을 수 결합해 수출을 추진해 세계시장의 10%를 점
소차로 전환하는 ‘수소상용차 선도 지자체 프 유한다는 목표를 정했다.
로젝트’를 추진한다. 민간기업은 내년까지 신차 5종을 포함해 오는
승용차는 내년부터 가격 구간별 상한제를 도입 2025년까지 20종을 출시하고 정부는 주행거
한다. 차량 가격이 보조금 지급 구간을 약간 넘 리와 효율, 충전속도 등 성능개선을 지원한다.
는 경우 완성차업체가 구간에 포함되도록 가격 이를 통해 2025년까지 주행거리를 50%를 연
을 인하하는 효과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장하고 전비 10% 향상, 20분 내 대용량 배터
전기차는 2022년말까지 세제지원을 우선 연 리 완충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장한 후 재연장 여부를 검토한다. 수소차는 북유럽과 북미 등 충전소가 구축된
수요 부문에서는 대기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국가에 상용차를 중심으로 수출을 집중한다.
위해 친환경 상용차를 집중 출시하고 렌터카 수소 트럭의 경우 스위스 1600대 수출에 이어
등 대규모 소비자에게는 전기차 확산의무를 부 2030년까지 북미와 유럽에 6만4000대를 수
과한다. 출한다.
국내 완성차 제조사는 오는 2024년까지 5~23 정부는 또 중동과 호주 등에 ‘상용차+충전소’
톤 수소트럭과 수소광역버스 등 상용차 라인업 패키지 수출을 지원하고 내구성 강화 등 경쟁
을 완비하고 정부는 민간의 출시 준비 일정에 력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늘
맞춰 부품과 소재 개발, 실증, 보조금 지원 등 린다.
을 차질없이 진행키로 했다. 자동차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이차전지
수주량 및 기술 수준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하고
완성차 수출 물량의 35%, 친환경차로 전환
이차전지와 연료전지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
이와 함께 정부는 미래차 및 연관산업 수출 확 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대에 나선다. 이를 위해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고도화(2025
2025년까지 전기차 46만대, 수소차 7만대, 년), 리튬-황 배터리 상용화(2025년), 전고체
하이브리드 30만대를 수출해 완성차 수출의 배터리 상용화(2030년) 등 차세대 배터리 조
35%를 친환경차로 전환하기로 했다. 기 상용화를 추진한다.
전기차는 유럽과 북미, 아시아 등 타깃 지역 마 수소연료전지는 수출처를 다변화하고 핵심소
케팅을 강화하고 동남아 등은 배터리 리스를 재 국산화율을 올해 70% 수준에서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