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51
EV 48 | 49 49
EV 48 |
지 상승했고, 행정서비스 만족도는 2015년 선할 계획이다. 공공 및 민간에 태양광 등의
50.8%에서 2020년 81.1%까지 높아졌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도 계속 추진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 안주하지 않고 이사 오고 싶은 특히 친환경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해 전기차
도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더욱 매 충전인프라 구축사업 및 자전거 이용 활성화
진하겠다.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 구 자전거도로가 마장로 등 22개 노선
- 이 있는데 자전거 겸용도로(비분리형)의 경우
성동은 IT산업 인프라와 제조업 기반을 보도와 구분되어 있지 않고, 상가 간판 등의
동시에 갖춘 융·복합산업 발전의 최적지 난립으로 인해 자전거도로 표지판 인식이 어
라는 평가도 적지 않다. 이를 위한 성동 려운 게 현실이다.
구의 전략을 설명한다면. 이에 시인성 강화를 위하여 작년 10월에는
마장2교~마장지하차도(연장 820m) 구간에
성수동을 ICT기반 신성장 산업거점으로 조성
자전거 픽토그램 사인블록을 설치하여 시인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성을 높였다. 올해도 겸용도로에 픽토그램 사
지난해 7월부터 추진한 ‘신성장 첨단산업 발
인블록을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굴 및 육성 연구 용역’이 지난달(2월) 마무리
환경오염 배출시설에 노후한 방지시설 교체
됐다. 성수동 내 신성장 첨단산업 관련 기업
및 설치 보조금을 지원하여 미세먼지를 저감
현황 분석, 정부 및 서울시의 주요 정책, 성수
하고, 중점관리사업장에 전문가의 기술지원
동 신산업도출(로봇·드론) 및 미래 산업과 연
을 통해 방지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결된 신성장 첨단산업 육성 전략 등을 바탕으
지원하고 있다.
로 발전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주민들의 참여와 함께 하는 그린 뉴딜 정책도
역점 시책으로 꼽을 수 있다. ‘아이스팩 전용
-
수거함’, ‘IoT스마트 종이팩 수거함’을 설치
최근에는 오는 2022년까지 570억원을
해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신규 발굴, 버려지
들여 ‘성동형 그린뉴딜’을 추진한다는 계
는 쓰레기의 친환경 자원화를 실천하고 있다.
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해
주택가 밀집지역에는 ‘이동식 재활용 정거장’
달라.
을 확대하여 올바른 분리배출 문화가 정착될
2022년까지 총 570억 원이 투입되는 ‘성동 수 있도록 주민과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생활
형 그린뉴딜’은 건물과 교통, 에너지, 숲 조 폐기물 감량에 힘쓴다.
성, 자원순환, 산업단지 관련 6대 분야의 32 또한 1회용품 사용이 많은 업소를 대상으로
개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지속 계도·단속하여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캠
1차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의 3대 주범인 건물, 페인을 확산 전개하고 있다.
교통,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를 선제적으로 마지막으로 대현산공원 등 공원을 비롯한 주
줄이고, ‘성동형 도시숲’ 조성으로 온실가스를 요 녹지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풍성하게 가꾸
흡수해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기 위한 식재사업을 추진한다. 동시에 녹지조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리면, 공공기관 신축 시 성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도심
제로(0)에너지빌딩으로 설계하고, 낡고 오래 여건을 고려하여 건물옥상·벽면 등을 활용한
된 국·공립어린이집과 경로당은 순차적으로 시설물 입체녹화를 통해 미세먼지를 저감하
그린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에너지성능을 개 고 도심경관을 향상하는 ‘성동형 도시숲’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