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48

Korea CFI Interview













                                       혁명 기술을 활용하면 도시의 유·무형 자산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여 다중이용시
                                       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재적소에 투입할 수 있            설의 출입자 현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관
                                       기 때문이다.                             리하기 시작한 시발점이었다고 볼 수 있겠다.
                                       사람을 향한 기술은 그동안 경제 논리에 밀려            지난해 5월 성동구에서 시범 도입한 후 한 달
                                       도시의 혜택에서 소외당했던 사회적 약자를 보            후인 6월부터 정부에서 전자출입명부를 전국
                                       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보살피고, 모든 주민이            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했고, 지금은 출입자나
                                       도시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사업주의 대다수가 수기명부보다 전자명부를
                                       슬리핑 차일드 시스템, 성동형 스마트 횡단보            더 선호한다.
                                       도, 모바일 전자명부, 스마트 쉼터 등 성동구           확진자 발생 시 신속한 역학조사의 기반이 되
                                       의 다양한 스마트 정책들이 그 일환이다.              고 있다.
                                                                           이외에도 살곶이 공원 자동차극장 운영, 드라
                                                                           이브스루 방식의 공공도서관 책 대여서비스,
                                       -
                                                                           베란다음악회, 취약계층을 위한 심리적 방역
                                       지난해는 성동구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을
                                                                           서비스 등도 ‘코로나19’ 대응의 성과라 할 수
                                       비롯해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일상
                                                                           있겠다.
                                       의 위협을 경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의 불편을 감내
                                       나름대로 성과도 적지 않았을 텐데, 격동
                                                                           하고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차원의 방역수칙
                                       의 2020년을 회고한다면.
                                                                           을 철저히 준수해 주신 지역주민들의 협조가
                                       성동구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한            있었기에 여러 차례의 전국적인 유행 사태의
                                       것이 지난해 2월 19일이었으니, 벌써 1년이           고비를 넘긴 힘이 됐다고 생각한다.
                                       지났다.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고 24시
                                       간 비상근무 체제를 운영한 지도 1년째다. 말
                                                                           -
                                       씀하신 것처럼 2020년은 ‘코로나19’ 대응과
                                                                           침체한 지역을 생명력이 살이 있는 도시
                                       함께 한 격동의 한 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치밀한
                                       우리 구는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얻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경제성장을
                                       은 교훈을 바탕으로 서울시 자치구에서도 선
                                                                           통한 자립경제 구축이 중요하다. 꾸준한
                                       도적으로 음압시설과 헤파필터를 갖춘 선별
                                                                           성장이 가능한 성동구를 위한 전략은 무
                                       진료소를 ‘코로나19’ 훨씬 이전인 2017년에
                                                                           엇인가.
                                       별도 건물로 신축했다. 현재까지 성동구보건
                                       소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총 8             민선 6기 취임 당시, 제1순위 공약이 일자리
                                       만5884명이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였다.
                                       성동구 보건소 선별진료소는 ‘코로나19’ 초            취득세·재산세 등 세금감면 및 규제 완화를
                                       기 문재인 대통령도 방문하여 전국적인 모범             통해 서울의 대표적인 준공업지역인 성수동
                                       사례로 소개됐다. 현재도 ‘코로나19’의 최전           에 지식산업센터(입주기업 총 4998개/2020
                                       선에서 정말 많은 직원이 고생을 마다하지 않            년 12월 기준)를 대거 유치했고, BMW, 클
                                       고 있다.                               리오, 메가박스 등 유명 기업의 본사와 대형
                                       이제는 모두가 익숙한 QR코드 기반의 ‘모바            엔터테인먼트사도 계속해서 이전하고 있다.
                                       일 전자명부’ 또한 성동구가 선도한 전국 최            소셜벤처 등 사회적경제 분야에 적극 투자해
                                       초의 성과다.                             전국 최대 규모의 소셜벤처 밸리(330여 기업)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