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105

EV  102  | 103











               선택에 따라 차량 충전구 위치에 맞춰 상단부 링에 연결된 충전                한다. 지난해 2020 레드닷 어워드에서 인터페이스 디자인 부문
               커넥터가 이동하고 충전이 끝난 뒤 커넥터가 손쉽게 회수되는                  본상을 수상한데 이번 굿디자인 어워드까지 수상하며 세계 최고
               부분 자동화 방식이 적용됐다.                                  수준의 사용성과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기아차는 3세대 K5와 4세대 쏘렌토 등 2개 제품이 선정됐다.               2020 굿디자인 어워드는 전 세계 48개국에서 출품된 900여
               2019년 12월 출시된 3세대 K5는 ▲헤드램프와의 경계를 과감              점이 분야별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히 허문 ‘타이거 노즈(Tiger Nose)’ 라디에이터 그릴, 심장 박
                                           동을 연상시키는 역동
                                           적인 그래픽의 주간주           환경부, 중-대형 상용차 온실가스 감축 기준 마련
                                           행등과 리어 콤비램프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대형 트럭과 버스 등 중·대형 상용차도
                                           로 과감하게 연출한 외          2023년부터 온실가스 감축 기준이 적용된다.
                                           장 디자인과 ▲12.3인         환경부는 2023~2025년 중·대형 상용차에 적용될 평균 온실가
                                           치 대형 클러스터, 다          스 기준을 마련해 최근 고시했다.
               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기 등 미래지향적이고 하이테크한 이미지                 환경부 지침에 따라 총중량 3.5t 이상 중·대형 상용차 제작사는
               의 실내를 갖췄다.                                        2023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1~2022년 기준치보다 2.0%
               기아차가 지난해 3월 출시한 4세대 쏘렌토는 이전 모델들이 보                감축해야 한다. 감축 비율은 2024년 4.5%, 2025년 7.5%로
               여준 고유의 강인한 디자인 헤리티지를 성공적으로 계승하는 동                 높아진다. 중·대형 상용차 제작사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초과
               시에 세련되고 섬세한 이미지를 함께 담아낸 혁신적인 디자인으                 달성할 경우 초과분은 나중에 미달분을 상쇄하는 데 쓸 수 있다.
               로 기존 SUV 디자인의 전형성을 완전히 탈피했다.                      환경부는 제도 시행 초기인 점을 고려해 2025년까지는 온실가
               제네시스는 ▲2015년 EQ900(현지명 G90) ▲2016년 쿠페             스 감축 목표에 못 미친 기업에 대해서도 과징금 등 제재를 하지
               형 콘셉트카 비전G ▲2017년 G80 스포츠·수소연료전지 SUV              는 않을 방침이다.
               콘셉트카 GV80 ▲2018년 에센시아 콘셉트·G70 ▲2019년              환경부는 전기·수소 기반 트럭과 버스 등 친환경차 제작사에 대
               G90·민트 콘셉트에 이어 올해 ▲G80, GV80, 인포테인먼트              해서는 1대 판매 시 3대 판매 실적을 인정하는 크레딧도 적용해
               시스템 카퍼 디자인 테마 등으로 이름을 올리며 브랜드를 출범                 친환경차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제작사별 평균 온실가스 배
               한 2015년부터 6년 연속으로 굿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는 쾌                출량은 전체 배출량을 판매 대수로 나눠 산정하기 때문에 친환
               거를 달성했다.                                          경차 판매 실적에 크레딧을 적용하면 그만큼 평균 배출량이 적
               특히 올해는 ‘크레스트 그릴’과 두 줄의 ‘쿼드램프’ 등 브랜드의              어진다.
               독자적인 디자인 요소가 반영된 양산차 2종으로 디자인상을 받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15인승 이하 승용·승합차와
               으며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을 입증했다.                             3.5t 이하 소형 화물차는 온실가스 관리 대상이지만, 중·대형
               지난해 3월 출시한 G80는 우아하고 역동적인 외장 디자인과 여               상용차는 지금까지 감축 기준이 없었다. 중·대형 상용차는 지난
               백의 미를 강조한 여유롭고 균형 잡힌 실내공간을 갖춘 제네시                 달 기준으로 약 85만대로 전체 차량의 3.5% 수준이지만, 수송
               스의 대표 세단이다.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5%에 달해 적
               지난해 1월 출시한 GV80는 제네시스 브랜드 최초의 SUV 모델              극적인 감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로 제네시스 디자인 정체성 ‘역동적인 우아함’을 완벽하게 담아                환경부는 이번 지침을 계기로 중·대형 사용차의 온실가스 감축
               낸 외관과 품격을 높인 편안하고 깔끔한 인테리어로 고급스러움                 을 촉진하기 위해 온실가스 자동 산정 프로그램도 업계에 제공
               을 극대화했다.                                          할 계획이다. 프로그램은 중량과 타이어 반경 등 차량 제원을 입
               카퍼 디자인 테마는 제네시스 브랜드를 상징하는 색인 카퍼를                  력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주는 것으로 국내 실정에 맞
               바탕으로 금속 특유의 질감을 시각화해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게 개발됐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온실가스 배출
               제네시스 카페이 등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내 다양한 디지털 콘                 량이 많은 중·대형차에 대한 온실가스 관리 제도 도입은 상용차
               텐츠의 시인성을 높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                  분야에서도 2050년 탄소 중립으로 가는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