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73

EV  70  | 71







               자동차산업과 교통정책의 선순환적 발전전략                    과 미래 교통수단과 관련된 교통체계를 개발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과제는 한국교통연구원의 기본과제 중 하나로 올해
               2월부터 11월 말까지 진행한 연구다. 최근 국내외 자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 수립 연구
               동차 업계 및 교통 분야에서 주목하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공유 교통기술을 중심으로 자동              국토교통부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확산과 안전한
               차산업의 구조가 개편되어 가는 방향을 진단했다. 또              운행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조
               대내외 환경 변화 및 자동차산업 구조변화 속에서 자              성·촉진을 통한 국민의 생활환경 개선과 국가 경제 발
               동차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교통정              전을 위해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
               책의 발굴 및 추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             한 법률’(자율주행차법)을 마련, 올해 5월부터 시행하
               가 이뤄졌다.                                   고 있다.
               교통정책이 자동차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확산과 이
               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을 활용해 자동차산업의 이              에 기반을 둔 자율주행 교통물류체계의 진흥을 위해
               슈를 분석했고, 통계학적 방법론을 이용해 특정 교통              정부에서 추진하게 될 5년간의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
               정책의 추진이 자동차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본계획의 수립을 지원하는 것이다.
               를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이 과업을 통해 체계적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을 수
                                                         립·이행하고, 민간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자율
               자율주행 교통물류체계 미래전망과 정책제언                    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안)을 제시해 자율주행자동차
                                                         의 도입·확산과 자율주행 기반 교통물류체계의 발전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ICT 기술, 초고속 통신기술
                                                         을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 발전, 인구 고령화와 인구 이동성의 변화 등으로 교
               통물류 체계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우편사업용 초소형전기차 시범사업 성과분석 연구
               이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여건, 자율주행 핵심
               기술과 지원 기술의 장기 패러다임 변화를 살피고, 이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전기자동차 보급을 통해 도
               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교통물류 서비스의 형태               로교통분야 대기환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기자동
               변화를 전망해 자율주행 교통물류 체계의 미래상과 정              차 기술개발 지원정책 추진을 시작해 지난 8월 말 기
               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준 전기자동차 등록 대수가 약 12만대 가까이 이르는
               향후 중장기 자율주행 교통물류 체계 관련 정책 개발              성과를 이뤄냈다.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