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6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76

EV R&D Special  KOTI  미래차교통연구센터






                           5G 기반 우편물류 이동형 접수·배달 문제 해결               자동화, 디지털화, 클린화, 초고속화에 대한 연구개
                                                                    발사업 기획을 통해 산업간 융합, 국가 산업경쟁력 제
                           자율주행 무인우체국 서비스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고 및 미래 교통환경 변화에 선제 대응을 목표로 하고
                           R&D로 개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자율주행을
                                                                    있다.
                           기반으로 무인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미래의 교통수단은 크게 서비스 공간의 한계, 교통수
                           통해 우편 서비스 수요가 있는 곳으로 자율주행을 통
                                                                    단의 성능과 운영 한계, 개인 모빌리티의 제공 한계,
                           해 접근한 후 등기우편 및 소포를 접수하고 배달할 수
                                                                    고령화 시대의 운전 제약, 교통 운영 한계, 친환경 및
                           있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에너지 절감 등 첨단 교통수단 기술과 모빌리티 사회
                           현재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 가운데 무인 우체국 기
                                                                    적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획되고 있다.
                           기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차량은 차고(車高)가
                                                                    이 연구의 결과는 2050년 이후 우리나라의 미래 모빌
                           높은 셔틀 형태의 차량을 이용하고 있고, 이 서비스의
                                                                    리티 서비스의 모습을 조망하고, 이를 위한 미래형 교
                           실증은 고려대 세종캠퍼스 내에 실증구간을 구축해 학
                                                                    통수단과 관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을 계획
                           내의 시민체험단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하고 있다.
                                                                    함으로써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
                           자율주행 무인우체국 서비스는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 서비스하는 On-schdule형을 올해에 실증하고, 내
                           년에는 시민의 요청에 따라 차량이 맞춤형으로 우편서
                           비스를 제공하는 On-demand형 서비스를 개발할 예                   국제표준 개발 관련 주요 과제
                           정이다. 이번 과제에서 센터는 자율주행 무인우체국                센터에서는 또한 ITS 분야의 서비스 및 기술 관련
                           실증을 위한 서비스 개발, 시민체험단 운영 및 관련 제             하여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과제에도 다수 참여하
                           도 개선 제안을 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면서 우리나라 ITS 분야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기
                           자율주행 무인우체국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 편리한 우               여하고 있다.
                           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집배원의 업무를 경감하
                           고 집배업무의 강도를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              Urban Mobility Integration 국제표준 개발
                           시킬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무인우체국을 통해 우편
                                                                    ICT와 자동차의 접목을 통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 및
                           서비스 소외지역에도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후 환경변화에 대응 가능한 맞춤형 이동서비스를 통
                           우편업무가 마감된 시간에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합적으로 제공하는 Mobility Integration 서비스는 대
                           있는 등 우편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
                                                                    중교통, 개인이동형수단, 공유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
                           로 기대된다.
                                                                    을 ITS 기반으로 통합·관리하는 이용자 맞춤형 신(新)
                                                                    교통서비스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미래형 교통수단 기술개발사업 기획
                                                                    또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서비스에서 개인 맞춤형 서
                           인구감소와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모빌리티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
                           비스에 대한 수요가 변화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             환해 복합교통수단의 실시간 운영관리는 물론 개별 이
                           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물리적 시·공간의 범위가            용자의 통행 관리가 가능하도록 각국에서 많은 연구가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공            이뤄지고 있다.
                           간의 확대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            이에 따라 이 과제는 Mobility Integration 서비스를
                           령화와 인구감소 등 인구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노             국제적인 정책으로 적용하기 위한 유스케이스 및 그
                           동 시장의 변화는 새로운 교통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             에 따른 요구사항을 정의, 경로 및 수단선택 어플리케
                           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형 교통수단 개발이 필요            이션의 기능 요구조건과 사양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
                           한 실정이다.                                  함으로써 Mobility Integration 서비스 분야의 주도권
                           이 미래형 교통수단 기술개발 사업 기획은 2050 국토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통 대비, 친환경 및 자율주행 기반의 지상, 지하 등           이 내용은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3차원 공간을 결합한 새로운 미래 교통수단의 지능화,            (ISO)의 Technical Committee 204(TC204, ITS 분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