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EV_Magazine_Vol_13.pdf
P. 72

EV Special Focus





                           -
                           클러스터의 역할 중 중요한 부분이 건강한 창업                시스템, 기술사업화와 창업지원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다고 본다.               주력하고 있다.
                           다양한 창업 보육 환경 구축과 구체적인 서비스                이를 위해 대학은 국내외 대학, 기업, 연구기관과의 공
                           계획도 구상하고 있다고 하는데.                        동연구 수행뿐만 아니라 국내외 대학 교류, 연구소 및
                           켄텍은 취업을 위한 인재양성이 아닌 에너지 분야에서             기업현장 실습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창업 중심             너지 분야 최고의 교수진과 연구원들의 멘토링과 자문
                           의 실전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학생들은 연구와 창업의 진로를 고려하여 구성된 커리             창업 스튜디오 설치, 창업 교육 및 프로그램 등 학생들
                           큘럼을 밟으며 4학년 때 창업과 연구 중 커리어 패스            이 손쉽게 창업에 접근할 수 있도록 One-Stop 서비
                           를 선택하게 된다.                               스를 제공하고 창업전문 조직을 통해 펀딩, 판로 등 다
                           연구 커리어 패스를 선택한 학생은 에너지 분야 5대             방면에서 학생 창업을 전폭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중점연구 분야인 ▲에너지 AI ▲에너지신소재 ▲수소
                           에너지 ▲차세대 그리드 ▲환경·기후기술 중 하나를              -
                           전공분야로 선택하여 석‧박사 과정을 밟고 대학, 연             KENTECH이 들어선 지역은 에너지밸리로 조성
                           구소, 기업 쪽으로도 진출할 수 있다. 물론 석박사 취           된 곳이다. 그만큼 KENTECH에 거는 기대가 크
                           득 후 창업도 가능하다.                            다. 지역과 상생 발전하기 위한 로드맵을 소개해
                           창업 커리어 패스를 선택한 학생은 연구역량과 기업가             달라.
                           정신을 기반으로 대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새로운              켄텍의 향후 로드맵은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양성과 공
                           사업모델을 개발하여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시장에 직              동연구 활성화, 지역혁신 지원체계 구축 등 켄텍 중심
                           접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의 지역사회 혁신을 실현하는 데 맞춰져 있다.
                           켄텍은 실패의 두려움 없이 도전적인 연구와 창업을
                           시도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연구                                  편집부 | ev@ievexpo.org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