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74
EV Policy Ⅱ 환경부 ‘2021 무공해차 보급혁신방안’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환경부는 탄소중립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기업을 대상으로
차질 없는 이행 준비 해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기여금을 부과하고 실적을 이월·거래하
상향을 검토하고 2050 탄소중립 시나리 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대기환경
오와 단계별 추진전략을 올해 안으로 도 보전법’ 하위법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일반 승용차 대비 주행거리가
또 저공해자동차 보급목표제 강화를 통 길어 환경개선 효과가 높은 전기택시 등
해 보급기반을 확충에 나선다. 자동차 제 무공해 상용차에 추가 혜택(200만원)을
작·판매사들이 더 많은 전기차·수소차를 지원하고 차고지·교대지 등에 급속충전
보급하도록 저공해차 보급목표를 2021 기 설치를 지원한다.
년 18%, 2022년 20%로 상향하고 무공 화물차·버스 분야의 무공해 상용차 보급
해차 보급목표는 신설한다. 올해 10%, 물량을 확대하고 차종별 개발시기와 연계
2022년 12%다. 해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신설한다.
아울러 제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보급
공공·민간 부문의 공공부문 의무구매 강화로 무공해차 전환 라) 설치 등을 우선 지원한다. ‘K-EV100’
무공해차 수요 적극 창출 을 선도한다. 올해부터 행정·공공기관의 이란 기업이 보유 혹은 임차 중인 차량을
신규차량 중 80% 이상을 무공해차로 구 2030년까지 100% 전기·수소차로 전환
매·임차하도록 하고 2023년부터는 비율 할 것을 공개 선언하는 캠페인이다.
을 100%까지 상향한다. 렌터카와 유통·제조 등 ‘한국형 무공해차
공공기관장 업무용 차량의 우선 전환을 전환100’에 참여한 기업이 무공해차 전
독려하는 한편, 공공부문의 이행실적을 환뿐 아니라 사업장 내 충전기 설치 등을
공표하고 미달성 시 과태료를 부과해 이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전기·수소차 보급
행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100(K-EV100)’ 환경부는 업종별 설명회 등 수요조사 후
추진을 통해 민간기업이 무공해차로 전환 이달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K-EV100 공
할 경우 구매보조금과 충전기반시설(인프 동선언식’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