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72

EV Policy  Ⅱ   환경부 ‘2021 무공해차 보급혁신방안’











            올해 전기·수소차 대중화 위한 청사진 마련


            30만대까지 보급…수송부문 탄소중립 가속화




            4대 핵심과제 선정,

            공공·민간부문 수요 적극 창출…공공기관 의무구매 강화

            차량 성능 향상·대중화 견인

            주유소 수준 전기차 급속충전 환경 조성도 추진



            정부가 무공해차 대중화와 수송부문 탄소중립을 가속화하기 위해 올해 안으
            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차’의 누적 보급량을 30만대까지 달성하겠다
            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무공해차 보급목표를 신설하고 주유소 수준의 전기차 급속충전
            환경을 조성하는 등 전환, 수요 창출, 보조금 개편, 충전 편의 등 4대 핵심과
            제가 선정됐다.
            환경부는 지난달 18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22회 국정현안조
            정점검 회의에서 ‘2021년 무공해차 보급혁신방안(부제 환경친화적 자동차
            보급시행계획)’을 상정·논의했다고 밝혔다. 수송부문의 경우 도심 내 핵심
            오염배출원으로 무공해차로의 혁신적인 도약이 없이는 수송부문 탄소중립
            달성이 어렵다는 현실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
            특히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이 무공해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어 내연
            차에서 무공해차로의 전환은 국가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과제다.
            결국 무공해차 전환은 선택이 아닌 속도의 문제로, 2050년 탄소중립 달성
            을 위해 무공해차 보급을 위한 혁신적 전환이 시급한 것이 혁신방안을 마련
            한 배경이다.
            이번 방안에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전환 준비 ▲공공·민간 수요 창출 ▲
            보조금 개편 ▲충전 편의 제고 등 4개 부문에 걸친 핵심과제가 담겨 있다.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