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71

EV  68  | 69





                             그렇다면 전기비행기 시장은 어떨까.                       과적으로 화물 배송 규모를 늘릴 수 있으므로 영토 전
                                                                       역에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0년 11월 워싱턴주 교통부 항공국(WSDOT)에서
                             는 FAA의 자금지원과 컨설팅 회사 Kimley-Horn의
                                                                       항공 탄소 배출 및 소음이 절감된다는 측면에서도 해
                             도움을 받아 전기비행기의 도입 타당성에 대한 보고서
                                                                       당 시장은 고무적이다. 고지대에서 배출되는 항공 매
                             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미국에서 2030년까
                                                                       연은 지표 매연보다 기후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지 최소 20대의 전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비행기가 운
                                                                       때문에 전기비행기는 장기적으로 볼 때 기후 영향을
                             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최대 19명의 승객을 수용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할 수 있는 전기비행기와 70인용 수력비행기 및 경화
                                                                       또한 전기비행기는 비행 활동을 늘리고 일자리를 지원
                             물기가 포함된다.
                                                                       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따른 수익을 창출하는
                             이 보고서에서 분석하는 전기비행기 시장의 주요 통합
                             요인은 대략 9요소로, 배터리, FAA 인증, 공중의 인           측면에서 항공산업 전반의 성장을 장려할 수 있어 앞
                             식, 시장 유효성, 안전한 비행노선, 전기 인프라, 항공           으로 전기비행기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사 선택, 주/연방 법 제정, 승객 비용 등이 포함된다.
                                                                       “당장은 어려워도…업계에선 전기비행기 주목”
                             전기비행기 시장의 주요 통합 요인                        전기비행기는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
                                                                       이다.
                                             Battery                   UN은 순 탄소 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자자
                                            Capacity /
                                     Cost to  Density  FAA             의 리더십과 지원을 모으는 글로벌 캠페인인 Race to
                                     Travelers     Certiflcation       Zero를 시작했고, 세계 경제 포럼은 ‘Race to Zero
                                                                       Dialogues’를 개최하고, 가상 포럼에서 비즈니스 및
                                  State /
                                  Federal   Demand        Public       공공 부문 리더들이 모여 항공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Rulemaking              Perception
                                             Factors                   에서 탄소 제로를 달성하는 방법을 논의하는 등 친환
                                                                       경과 지속가능성이 모든 산업 전반에 걸쳐 화두가 되
                                   Airline              Market
                                  Adoption             Availability    는 요즘, 전기비행기의 보급은 필연적이라고 볼 수
                                         Electrical  Available         있다.
                                       Infrastructure  Routes
                                                                       전문가들은 소형-단거리 항공시장에서 전기비행기 채
                                                                       택이 가속화되고, 중대형-중장거리 항공시장에서는
                             <자료: Kimley-Horn, WSDOT>
                                                                       당분간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비행기가 대세를 이룰
                             위의 요소들 중에서도 전기비행기의 시장 도입에 있어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서 가장 큰 진입장벽은 역시 배터리이다.                    항공기 엔진 부품을 제조하는 A씨는 KOTRA 실리콘
                             배터리는 화석 연료와 같은 에너지 밀도를 갖지 않을              밸리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배터리 기술의 한
                             뿐만 아니라 비행기는 자동차에 비해 훨씬 무겁고 부              계로 당장은 중대형 전기비행기의 도입이 어렵지만
                             피가 크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승객 규모가 제한된 소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고, 코
                             형 비행기 위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소형 전기비             로나19로 인한 항공산업 전반의 어려움을 타개할 방
                             행기, 특히 수직 이착륙(VTOL) 및 UAS는 효율적이고          안으로 업계에서 전기비행기를 주목하고 있다”고 밝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화물 배송 규모를 크             혔다.
                             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지속적인 투자가 관건이겠지만 전기비행기에 대한 과
                             다시 말해, 기존의 자동차를 대체해 혼잡한 도시 지역             학계와 각 기업의 연구개발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이나 비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도서 산간 지역으로 효              것으로 전망된다.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