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63

EV  60  | 61









               계적인 광업 강국이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배터리개발 인력도 보유하고 있
               다. 따라서 캐나다는 배터리 제조사를 위한 이상적인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차 관련 한국 업체들은 캐
               나다 광산 투자를 통해 배터리 광물을 확보할 수 있다.
               캐나다에는 5개 글로벌 완성차 업체 - 피아트크라이
               슬러(Fiat Chrysler Automobiles), 포드(Ford), 제
               너럴모터스(GM), 혼다(Honda), 토요타(Toyota)사가
               연간 200만대 이상의 상용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마             사용하는 기계장비 원가를 100% 상각할 수 있도록
               그나(Magna)사와 리나마(Linamar)사를 필두로 700        허용하고 있다.
               여개 이상의 자동차 부품업체가 산업생태계를 구성하               이와 같은 다양한 혜택은 캐나다에 진출한 모든 해외
               고 있다.                                     기업들에도 동일하게 제공되고, 글로벌 기술 인력 전
               양국 기업은 공동 R&D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 상용화             략(Global Skills Strategy)을 통해 숙련된 외국인 근
               부분에서 서로 이상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양국 기            로자 채용을 돕고자 해당 근로자들의 취업 비자 허가
               업들은 내수시장뿐 아니라 수출시장에도 큰 관심을 둘              절차를 2주 이내에 처리해주고 있다.
               수밖에 없고 혁신기술의 중요성도 잘 인식하고 있다.              캐나다 산업생태계가 자랑하는 또 하나의 매력은 바
               캐나다의 배터리 연구 생태계와 역량은 세계적인 인               로 우수한 인력과 혁신 스타트업들이다. 2020년 기준
               정을 받을 만큼 확고한 입지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             타임즈 고등교육기관 순위 100위권에 5개의 캐나다
               면,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에 있는 댈하우지 대학교               대학이 자리잡고 있으며, 고등교육학위를 보유한 성
               (Dalhousie University)의 제프 단(Jeff Dahn) 박사  인의 비율이 58%로 세계국가교육순위에서 3위에 올
               가 총괄하고 있는 ‘제프 단 연구팀’은 테슬라와 협력하            라있다. 캐나다의 국립비영리연구훈련 기관 마이탁스
               여 새로운 리튬이온 전극 소재, 리튬이온전지의 단락              (Mitacs)는 캐나다 국내 산·학·정 협력을 증진하고 캐
               원리를 규명하는 최첨단 진단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나다 대학과 해외 기업들 간의 국제연구교류 확대를
               아울러,  1990년대  1세대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          위한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 것으로 유명한 퀘벡 주 수력공사인 하이드로 퀘               캐나다는 한국기업에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좋은 테스
               벡(Hydro Quebec) 산하기구 하이드로퀘벡연구소            트베드다. 한국기업의 캐나다에서의 경험은 성공적인
               (IREQ)는 매년 평균 1억달러를 미래 혁신 프로젝트에           전체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 또한
               투자하고 있다.                                  각종 배터리 광물/금속을 보유하고 다양한 정부지원
               캐나다는 연방정부와 주(州) 정부 모두 기업들에 연구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훌륭한 고숙련 노동력을 자랑하
               개발비(R&D)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캐나다            는 캐나다는 한국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북미시장 진
               연방정부는 과학연구실험개발(SR&ED) 인센티브와 산             출을 위한 이상적인 투자처라고 자신 있게 소개할 수
               업연구보조 프로그램(IRAP)을 통해 연간 30억달러(한           있다.
               화 2조600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운영하
               고 있다. 이 인센티브는 배터리 관련 연구개발을 비롯             -
               한 미래 혁신 기술 개발 사업들에 지원되고 있다.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기차와
               또한, 향후 5년간 20억달러 규모의 전략혁신기금               자율주행차 등과 관련된 기술과 제품에 대한 수
               (Strategic Innovation Fund)을 통해 기업들의 대규   요도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특히 온타리오 주정
               모 혁신 프로젝트(신청기금 1000만달러 이상)를 지원            부는 자율주행차의 조기 상용화에 대한 의지가
               할 예정이다. 아울러, 캐나다는 가장 누진적인 세제 인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 자율주행차 개발 동향을
               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기업이 제품 생산 및 가공에               전해달라.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