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58

EV Global CFI Interview  Ⅱ











          “세계는 기후변화와의 싸움서


            지금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캐나다와 제주·경기 등 탈석탄동맹



            청정성장과 기후보호 가속화 연대




            캐나다는 북미 자동차산업의 한 축…수출 비중 커

            세계 10대 수소 생산국 위상…글로벌 수소산업 선도





            “캐나다 정부는 강화된 기후정책의 일환으로 재생 가능한 차세대 청정에너지
            와 기술에 투자해 청정 전력공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마이클 대나허(Michael Danagher) 주한 캐나다 대사는 최근 매거진 ‘EV’와
            주한 캐나다대사관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캐나다의 녹색정책에 대해 소개하면
            서 “더 건강하고 활기차지만 혼잡하지 않은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해 탄소제
            로배출 차량과 같은 무공해 청정 교통수단을 장려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탄소제로배출 차량 사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경
            량 무공해 차량이 대해 5000달러를 환급받을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며 “차량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전국에 차량 충전소 설치 예산으로 3년간 1
            억50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캐나다는 2050년까지 전역에 수소충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소연료
            전지차량 500만대를 도입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저렴한 저탄소 수소생
            산공급 시스템 구축을 통해 연간 2000만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3위 수소생산국가로 부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마이클 대나허 대사와 가진 인터뷰 전문.








            마이클 대나허(Michael Danagher) 주한 캐나다 대사는 민간 부문에서 경력을 쌓은 후 1987년 캐나다 외교부에 입부했다.
            그는 주나이지리아 캐나다대사관과 베트남 하노이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선임 상무관을 역임했으며, 지난 2018년 9월 주한 캐나다 대사로 부임하기
            전 한국에서 두 차례 외교관으로 근무해 ‘지한파’로 알려졌다.
            캐나다 외교부에서 천연자원 무역정책, 아프리카·유럽·대만 지역 담당관으로 근무했고, 캐나다 상무위원서비스 인사담당관도 역임한 바 있다.
            한국 대사로 부임하기에 앞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국제통상관계과 선임 과장, 캐나다 역내 중앙·지방 관계국 국장을 지냈다.
            대나허 대사는 오타와대학교에서 학사 학위(1983)를 받고 맥길대학교MBA 학위(1986)를 가지고 있다.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