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EV매거진_9호(3월)_e-book
P. 65
EV 62 | 63
캐나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사회로 전환 배출 감소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하는 데 있어 수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 ‘캐나다 탄소중립 배출 의무법’은 캐나다 정
로 기대한다. 먼저 교통 및 전력부문에서 수 부가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계획부터
소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행 및 효과에 대한 중간보고, 각 목표에 대
특히 온실가스배출량이 큰 트럭, 버스 등의 한 최종평가보고를 캐나다 의회에 제출하도
대형차량과 특수차량에 대한 수소 도입이 앞 록 요구하고 있다.
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는 2050년까지 캐나다 전역에 걸쳐 -
수소충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소연료전지 현 집권당인 자유당의 경우 온실가스 배
차량 500만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수소가 캐 출 감축 등 환경친화적 에너지 정책을 기
나다 전력시스템의 30%를 담당하는 것을 계 조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탄소세
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캐나다는 가격이 저 의무적 도입 등 저탄소 정책에 관해 설명
렴한 저탄소 수소생산공급 시스템 구축을 통 해 달라. 또한 한국도 기후변화에 대응해
해 연간 2000만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변화와 혁신이 활발하게 이뤄지
글로벌 3위 수소생산국가로 부상하는 것을 고 있는데, 녹색성장(Green Growth)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위해 캐나다와 한국이 긴밀하게 협력할
이러한 목표가 달성되면 35만명의 고용창출 방안을 제시한다면.
은 물론 500억달러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주
캐나다는 파리기후변화협약 온실가스 감축
요 산업으로 성장하고, 동시에 연간 온실가스
목표를 초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온
배출량 1억9000만톤을 저감할 수 있다.
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기준보다 30% 이
상 낮추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
-
려고 노력하고 있다.
지금 세계는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공동
2019년부터 캐나다에서의 모든 관할 지역
의 이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캐나다 정
에서는 탄소오염에 관한 가격을 책정하고 있
부도 탄소배출 제로(net-zero) 달성 계
다. 캐나다는 유연한 접근방식을 통해 각 주
획 등을 담은 법안(Bill C-12, Canadian
(州)와 지역이 그들에게 각자 맞는 가격 시스
Net-Zero Emissions Accountability
템을 설계하거나 연방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
Act)을 하원에 발의했다고 한다. 자세한
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의 연방탄소가격 시스
내용을 소개해 달라.
템은 ‘세수 중립(revenue-neutral)’으로 모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단순 든 수익금은 개인, 가족 그리고 기업에 지급
히 환경만을 위한 계획이 아니다. 이는 더 깨 되거나 ‘기후행동 프로그램(climate action
끗하고, 경쟁력 있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program)’을 통해 돌아간다. 탄소오염가격
것이다. 캐나다의 탄소배출감소 계획은 경쟁 제는 산업이 더욱 효율적이고 청정기술을 사
에서 유리한 청정경제(clean economy) 구 용하도록 장려한다.
축을 통해 투자 유치, 경제성장 촉진, 일자리 캐나다 기후계획의 핵심요소는 석탄화력으로
확대, 오염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인한 배출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이다. 이
‘캐나다 탄소중립(넷제로) 배출 의무법 는 과학적으로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 온
(Canadian Net-Zero Emissions 도 달성을 위해 필수적인 과제다. 캐나다 정
Accountability Act)’은 캐나다가 2030년, 부는 주 정부와 산업계, 석탄업계 종사자 및
2035년, 2040년, 2045년에 5년 간격으로 공동체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탈석탄화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