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74

Korea’s 2050 Carbon Neutrality Vision







                                             한다.                              그린수소 생산(P2G)를 생산해 수소차 충
                                             재생에너지 전력의 열·가스 등 타 분야            전에 이용하고, 열(Heat) 생산(P2H)을
                                             전환(섹터 커플링) 기술 개발과 실증도            통해 열수요 지역에 난방을 공급하는 방
                                             추진한다.                            안 등이다.




                                산업혁신         이와 함께 정부는 수소 산업 활성화를 위           방식 및 인프라도 개선할 방침이다.
                     에너지 혁신 역량 강화            해 수소전문기업 1000개, 매출액 1000         R&D 결과는 공기업 시범사업 연계 등으
                                             억원 이상 에너지 혁신기업 100개를 육           로 트랙레코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성하기로 했다. 수소 소재·부품·장비 연           한다. 최저효율제와 탄소인증제 고도화
                                             구개발(R&D) 지원 규모는 2030년까지          로 고효율·친환경제품 시장을 확대한다.
                                             2000억원으로 늘린다.                    최저효율 기준의 단계적 상향 및 탑 러너
                                             고효율 태양전지, 초대형 풍력터빈(12㎿           (Top Runner, 최고 에너지효율 제품군)
                                             이상), 그린수소 양산, 수열 등 핵심기술          도입, 현재의 태양광 모듈에서 풍력·연료
                                             국산화에 주력하는 한편 계통 혼잡 완화            전지 등으로 탄소인증제 대상을 확대하
                                             와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해 접속            는 방안 등도 검토한다.





                             인프라 혁신          계통혼잡 완화를 위해 기존 고정(Firm)          또 ESS, 양수, 가스터빈 등 유연성 자원
                         계통 수용성 증대           접속방식에서 선로별 접속용량 차등, 최            을 확보하고 계통운영자가 일정 수준 이
                                             대출력 제한, 선접속·후제어 등 유연한            상의 관성자원을 확보하도록 계통신뢰도
                                             (Non-Firm) 접속방식을 도입한다. 접속        기준을 강화한다.
                                             가능 용량은 현재 모든 배전선로가 12㎿           재생에너지 관제인프라 통합 등 대응 인
                                             인 것을 개선해 A선로는 12㎿, B선로는          프라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올해 전국
                                             14㎿ 등으로 차등화한다는 계획이다.             계통 재생에너지 통합관제시스템을 구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을 위해 발전량             축, 운영하고 스마트인버터 의무화도 시
                                             사전입찰, VPP(가상발전소) 구성 등 설          행한다.
                                             비 스스로의 예측·제어능력을 높인다.






                                  전력계통·신에너지 등 내용 대폭 보완

                                   ‘2050 탄소중립’ 선제적 대응 방안 제시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선 유망 재생에너지원 발굴, 태양전지 초고효율화 및 초대형 풍력터빈 개발 등 공급기술 혁신, 재
            생에너지 중심의 전력시스템 구축, 그린수소 확대 등을 통해 현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과제를 강력하게 추진한다.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