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59

EV  56  | 57





               -
               ‘지필로스’라는 기업 이름이 특이하다. 특             이 물뿐인 깨끗한 에너지다.
               별한 사연이 있는지.

               지필로스는 친환경 기업이다. 사명에서 알 수            -
               있듯이 녹색(Green)을 뜻하는 ‘G’와 사랑을         에너지원으로서 수소가 가지는 의미는.
               뜻하는 ‘필로스(Philos)’가 합쳐져 지필로스
                                                   기존의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원료 위주의 에
               (G-Philos)가 되었다.
                                                   너지 시스템이었던 경제 시스템이 수소경제로
               에로스(Eros)와 아가페(Agape)가 일방적인
                                                   전환된다는 것은 국가의 주 에너지원이 친환
               사랑을 뜻한다면, 필로스(Philos)는 ‘주고받는
                                                   경적인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이다. 동시에 원
               사랑을 의미하며, 자연으로부터 인류가 받기
                                                   유와 천연가스 등과 같이 전량 수입되는 에너
               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살아가야 한
                                                   지원과는 달리, 해외 의존도를 감소시켜 에너
               다’는 기업의 철학을 담고 있다.
                                                   지 자립을 이룰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선두기업을 지향하는 ㈜지필로
                                                   현재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5%를 수입하고
               스의 사명(使命)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세상
                                                   있다. 이에 반해 수소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Green Philosophy of Power Conversion
                                                   않고, 그 활용성 역시 무한한 자원이다. 수소
               Technology)을 만드는 것이다.
                                                   경제를 통해 에너지를 일정 부분이라도 자급
                                                   할 수 있게 된다면 안정적인 경제 성장과 더불
               -                                   어 에너지 안보 역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산업
               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전망하는지.                -
               정부가 밝힌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수소           현재 우리나라의 수소에너지 연구·개발
               를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겠다는 목표를             단계는.
               설정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수소를 추출하기 위해 태양광, 풍력, 바이오
               수소경제란 무엇인가.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친환경적으로 대량
               으로 사용하는 경제산업구조다. 정부는 수소             생산하는 날이 곧 올 것이다. 유럽이나 일본에
               차와 연료전지 기술을 중심축으로 세계 최고             선 연구가 많이 진행됐고, 지금도 현재 진행형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의             이다.
               지를 공식화한 것이다.                        그리고 지필로스가 자연에너지인 풍력발전에

                                                   서 나오는 전기를 수소로 변환해 보고, 이를
                                                   저장해서 다시 전기를 만들어내는 실증에 참
               -
                                                   여하게 된 것이다. 상용화에 앞서 안전에 대해
               왜 수소인가.
                                                   서도 연구·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수소(水素, Hydrogen)는 주기율표의 첫 번째
               화학 원소다. 화석연료 중심의 현재 에너지 시
                                                   -
               스템에서 벗어나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
                                                   지필로스의 비전은.
               는 생산 시스템을 증대시키고, 이를 위해 수소
               를 안정적으로 생산, 저장, 운송하는 데 필요           P2P(Power to Power), P2G(Power to Gas),
               한 모든 분야의 산업과 시장을 새롭게 만들어            P2H(Power to Hydrogen) 등 에너지 융합
               내는 것이다.                             의 시대가 빠르게 열리고 있다.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탄소와 달리             지필로스는 모든 것을 다 담을 수 있는 P2X
               수소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부산물            스테이션이 될 것이다.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