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55
EV 52 | 53
지필로스는 2009년 설립된 P2G(재생에 지필로스는 끝없는 연료전지 전력변환장 국내 전력변환장치 기술발전 주도
너지 연계형 수소융합시스템) 및 신재생 치 기술개발 노력을 통해 국내 불모지였 시장점유율 70% 차지
에너지 기반의 전력변환장치(PCS) 전문 던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시장에서 현재
기업이다. 연료전지 PCS 600W에서 500㎾까지 인
지필로스는 현재 삼성, 현대제철, 포스코, 버터 제조사 중 최다인 30여 종의 제품군
LG, STX 등에 1㎾, 5㎾, 10㎾, 50㎾, 을 보유하는 성과를 이뤘다.
160㎾급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를 공급 또한 2016년 말 실리콘(Si)계열 전력반
하며 미국시장까지 진출하고 있다. 도체가 아닌 차세대반도체라 일컬어지는
그러나 지필로스가 창업할 당시 국내기 GaN소자를 이용, 연료전지 인버터로는
술로 제작된 전력변환장치는 전무한 상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
황으로 시장은 매우 열악한 상태였다. 연 이는 국내 연료전지 전력변환장치 기술발
료전지 전력변환장치의 경우 일본제품이 전(60% 크기 축소, 원가절감, 효율향상)
들어와 있었으나 가격이 너무 비쌌고 일 에 크게 기여하며 국내 시장점유율 70%
본을 비롯한 유럽시장은 점차 커지는 추 를 차지하게 됐다. 전력변환장치(PCS)
세였다.
지필로스의 연료전지시스템용 전력변환장 특히 HiGenC, HiGenV Series, HiGen 다양한 연료전지 시스템
치(HiGen-C Series, HiGen-V Series) -C Series, HiGen-V Seires 인버터는 및 ESS용 전력변환장치
는 연료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국내시장 점유율 1위’를 통해 검증된 기
교류전력으로 변환해 전력계통(Grid)에 술력과 10여 년간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
연계시키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이다. 로 세계 최고의 제품개발을 목표로 지필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시스템을 구성하 로스가 개발한 연료전지 인버터 브랜드
는 핵심요소인 연료전지 스택(Fuel Cell 이다.
Stack)은 날이 갈수록 소형화되는 추세이 또한 지필로스의 ESS용 전력변환장치는
며 그에 따라 출력전압 역시 갈수록 낮아 50㎾~1000㎾ 용량에 이르기까지 다양
지고 있다. 한 제품군을 가진다. 일반적인 수요관리
지필로스의 연료전지용 인버터는 10.2V 기능 외에도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과
의 낮은 전압에서도 고효율의 전력변환이 같은 재생에너지와의 연동기능부터 정전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시 비상전원(UPS) 기능 등 다양하고 특
연료전지 스택(Fuel Cell Stack)의 종류 수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다.
와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요구되는 입력 수요관리 및 비상전원(UPS) 기능은 평상
조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다양한 제품군 시 Power Shift 및 Peak Shaving 운전
을 형성하고 있으며 연료전지 스택의 수 을 통해 전력계통(Grid)을 안정화하고 전
명을 고려한 매우 정밀하고 안정적인 스 력을 수용하는 고객의 전력요금을 절감시
택 최적화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됐다. 켜준다.
시스템 출력 용량에 따라 주택용(600W~ 또 전력계통에 정전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5㎾), 건물용(5㎾~20㎾), 발전용(25㎾ 는 비상전원(UPS) 기능을 통해 중요 부
~500㎾) 등으로 구분되는 30여종의 모 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
델이 있다. 됐다. 연료전지용 인버터, 전력변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