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50

EV Special  삼성SDI










            차세대 에너지·첨단소재              삼성SDI는  1994년  반도체용  공정소재인          이를 위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및
            분야 리더십 확보 주력              EMC 개발을 시작으로 전자재료 사업에 진입            태양전지용 소재에 이르기까지 앞선 기술과
                                      한 후 도전과 자기혁신을 통해 반도체, 디스플           전문화된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레이 및 차세대 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되는 소            삼성SDI는 축적된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고
                                      재를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성장이  예상되는  QD(Quantum  Dot)·
                                      반도체, LCD 등 기존 시장에서의 시장 지배력          OLED·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초미세  반
                                      을 강화하는 동시에 OLED 소재와 이차전지            도체 공정재료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입해 차
                                      분리막 등의 차세대 첨단 소재 시장에서 리더            세대 제품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확보할 계획
                                      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다.





            부문 간 협업·연구 강화,            삼성SDI는 ‘친환경 초일류 소재 에너지 토탈           료 수급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기술 경쟁력 강화                 솔루션 대표 기업’으로서, 첨단소재에서 부품            전자재료사업부는 삼성미래기술캠퍼스(전자
                                      까지 사업을 확대해 이차전지, IT 기기 및 자          소재 연구단지)에 입주해 공동 연구개발로 시
                                      동차 소재뿐만 아니라 에너지 분야 전문기업             너지를 창출하고 있다. 2019년에는 소형·중
                                      으로의 기술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대형배터리 개발 거점 및 평가 시설 등 유관
                                      배터리 산업의 경우 친환경 요구 확대에 따른            기능 인프라를 기흥사업장으로 통합해 배터리
                                      신규 애플리케이션의 다변화 및 안전성을 갖             연구개발 시너지 및 개발 효율성을 제고하는
                                      춘 전지 성능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급변           기반을 마련했다.
                                      하는 기술 및 시장환경을 선도하고 미래 성장            삼성SDI는 전기차 부품인 리튬이온배터리와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신제품 및 신기술을             재생에너지 사용을 위한 ESS를 생산하고 있
                                      위한 연구개발 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 최근에는 각국의 환경 규제로 이산화탄
                                      삼성SDI는 SDI연구소와 함께 소형전지사업            소 배출량 저감을 위해 배터리에도 Recycle
                                      부, 중대형전지사업부, 전자재료사업부 내에             Metal 사용을 권장하는 OEM의 요구에 따라,
                                      연구개발 조직을 운영하며, 각 부문 간 협업을           폐배터리에서 새 배터리에 사용 가능한 소재
                                      통해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             를 분리해내는 Recycling 기술을 보유한 업
                                      또한 이차전지 소재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원             체와도 전략적 협력을 하고 있다.





            에코프로비엠 합작사                삼성SDI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생            에코프로이엠  공장은  영일만  산단  내  7만
            설립                        산하기 위해 에코프로비엠과 합작해 설립하는             6000㎡(2만3000평)에 건축 면적 1만9800
            양극재 공급 기반 확대              ‘에코프로이엠’ 공장을 신설한다.                  ㎡(6000평)  규모로  들어선다.  건축에는
                                      삼성SDI는 2022년 1분기부터 에코프로이엠           1800억 원이 투입된다.
                                      으로부터 단독으로 양극재를 공급받을 예정으             신설 공장은 차세대 하이니켈 양극재를 2022
                                      로, 합작사 설립을 통해 안정적으로 양극재를            년 1분기부터 연간 3만1000톤 생산할 예정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다. 이는 전기차 35만대 분량에 해당한다.
                                      삼성SDI와 에코프로비엠은 지난달 18일 경북           장기적으로는 2025년까지 공장 규모를 2.5
                                      포항 영일만 산업단지에서 합작법인 에코프로             배 이상으로 증설해 세계 최대의 양극재 생산
                                      이엠 신설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