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EV매거진_6호(12월)_e북용
P. 41
EV 38 | 39
네덜란드는 많은 지역이 해수면 아래에 있어서 홍수 피해에 취
약한데, 이에 대비하기 위해 제방이나 해일 방파제와 같은 보
호 시설을 구축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Room for the
River’(강을 위한 공간)란 통합 하천 유역 관리 대책이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라인강 등 네덜란드에 흐르는 주요 강들을 따
라 위치한 30개 이상의 지역에 범람원을 넓히거나 강바닥을 깊
게 만드는 등 이름처럼 강에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
한 대책을 취한 결과, 강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홍수의 위험
으로부터 더 안전해졌다.
북해와 맞닿은 네덜란드 서쪽 지역에는 아름다운 해안선이 길게
이어져 있다. 해안 침식으로 백사장이 사라지면서 발생하는 해변
을 찾는 시민들의 안전과 해양 생태계 훼손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창의적인 방법들을 적용했다.
인공적으로 모래를 쌓아서 갈고리 모양의 반도를 조성한 후, 바
람, 파도 및 해류 등 자연의 힘으로 모래를 해변과 사구로 천천히 이는 기존 천연가스 산업계에는 충격이 될 수 있었다.
퍼뜨리는 방식인 ‘샌드 모터(Sand Motor)’로 해변에 모래를 보 정부는 이들 가스 산업이 차츰 ‘뉴 가스’로의 사업 전환을 할
충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헤이그 시민들이 가족과 많이 찾는 스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네덜란드 북부 호르닝언
헤브닝언 해변에 위치한 큰 거리(Scheveningen Boulevard)에 (Groningen)지역이 EU로부터 수소 밸리(Hydrogen Valley)
예술적 디자인을 입혀 제방을 보강해서 더욱 매력적인 해안 공간 로 지정받아 30여 개 과제가 진행되도록 한 것이 그러한 사례
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다.
로테르담 도심에 위치한 벤뎀플레인 광장(Benthemplein
Water Square)은 비가 많이 내리면 빗물을 가두는 저류지 역할
-
을 하고, 빗물이 빠지면 아이들의 놀이터나 시민들의 휴식 공간
바이오매스 가스 생산을 위해 해조류를 적극 활용한다는
으로 사용되고 있다.
데, ‘녹색 황금’으로 불리는 해조류를 활용한 바이오 연료
개발 현황을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
- 네덜란드 정부는 해조류의 잠재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해
한국과 네덜란드는 그린가스를 대체하기 위해 바이오메스 조류를 홍보하고 에너지 믹스의 일부로 만들기 위한 명확한 정책
가스 생산에 적극 나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같은 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정부 기관들은 정부에 해초의 잠재력을
정책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조사하라고 충고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화석연료인 천연가스를 대체하는 친환경 가스를 ‘뉴 아직도 몇몇 기관들이 이 주제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 그중에
가스(New gas)’라고 한다. 는 TNO와 WUR도 있다. 그들은 자동차와 트럭 모두를 위한 연
이는 축산농업 폐기물로 만든 바이오가스나 재생에너지로 생산 료를 생산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된 전기로 수전해를 하여 만든 수소가 있다. 네덜란드 연구원들은 연료 외에 다른 해초 용도에 대해서도 조사
네덜란드는 서유럽 대륙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천연가스 전을 가 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약품이나 식품에 사용되는 재료와 같이
지고 있어서 가스 산업이 매우 발달해있다. 거의 모든 가구가 여기 연료보다 고부가가치인 식품이나 약물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파이프를 통해 받아 난방 및 조리에 이용하
였다. -
그러나 탄소 중립을 위해서, 그리고 천연가스 생산으로 인한 다 네덜란드는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에너지 정책의 일환으
른 환경 영향들로 인해 네덜란드 국민들은 천연가스에서 다른 에 로 친환경 교통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너지원으로의 전환을 희망하고 있다. 소개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