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36
EV Global Hot People Audi Volkswagen Korea
한국 모빌리티 변화를 선도하다
-
KAIDA가 한국 자동차 산업과 시장에 어떤 방식 역시 다양한 수입 전기차의 국내 출시가 예정돼 있다.
으로 기여하고 있는지. 또 향후 발전적인 방향에 친환경차와 전동화는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
서 수행해야 할 역할을 꼽는다면. 로, 국내 시장에서도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KAIDA는 수입차 업체들과 함께 국내 소비자들을 위
한 다양한 모델을 제공과 신기술을 선보이면서 차별화 -
된 고객 서비스와 마케팅, 산학협동 및 사회공헌활동, 사실 최근 차량 전동화의 배경에는 파리기후협약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국내 수입차 시장의 저변을 확 목표의 이행이라는 데 모아질 수 있다고 본다. 이
대하고 국내 자동차 기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런 관점에서 글로벌 자동차업계의 노력들은 어떻
노력해왔다. 게 평가하는지.
앞으로도 KAIDA는 회원사들과 함께 소비자 만족 증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글로벌
대, 수입차 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의 노력을 통해 국내
이슈로, 세계적으로 보다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려는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움직임들이 있다.
일례로, 유럽은 2050년 첫 번째 탄소중립 대륙이 되
-
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노르웨이는 2025년부터 내연
한국도 자동차산업의 변화가 매우 빠르다. 내연기
기관차량의 판매를 중단하는 최초의 유럽 국가가 되겠
관에서 전동화로 산업 중심 이동이 가속화하고 있
다고 선언했다. 스웨덴은 2030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다. 현재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세계 자동차산
의 판매를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업의 변화에 대해 진단한다면.
BEV, FCEV, PHEV, E-drives 등 환경친화적이고
2020년 KAIDA 회원사 기준 친환경차는 약 18%(하 지속가능한 모빌리티로의 변화는 필수 불가결하다고
이브리드 17%, 전기차 1.2%)의 시장점유율을 나타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EV 시장 성장을 안정적으
내고 있다. 이는 전년 대비 65% 성장한 것으로 친환 로 가져가기 위해서는 EV의 효용성, 관련 법규, 인프
경차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라, 재정적 지원 등이 상호유기적으로 뒷받침되어야
지난해 기준 수입 전기차는 10여종으로 늘었고, 올해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