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EV 매거진_8호(2월)-e-book
P. 98

EV News Briefing







                             국제전기차엑스포-한라대 MOU…“e-모빌리티 협력 강화”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이사장 김대환)와 원주 한라대학교(총
            장 김응권)가 스마트 e-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 교류와 협력
            을 확대하기로 했다.
            김대환 이사장과 김응권 총장은 1월 26일 오후 한라대에서 ‘e-
            모빌리티 산업 발전과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하고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e-모빌리티 산
            업 발전 및 융·복합형 인력 양성을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이날 MOU를 계기로 e-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한 상
            호 지원 및 협력을 비롯해 e-모빌리티 분야 맞춤형 우수 인재 양
            성을 위한 교류를 강화하기로 했다. 한라대는 1995년 고(故) 정
            인영 한라그룹 명예회장이 고급기술인력 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올해 엑스포는 지난해 7회에 이어 ‘버추얼 전시회’를 비롯해 온·
            제고를 위해 설립했다.                                     오프라인 전시회와 다양한 주제의 컨퍼런스,  B2B, 시승 및 체험
            최근에는 ‘VISION 2025+’와 종합발전계획(버전 2.0)을 수립해         등의 프로그램이 대면과 비대면 방식 병행으로 진행된다.
            학생성공과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대학상 정립을 통해 대한민국                 김대환 이사장은 “한라대가 특화하고 있는 미래지향적인 스마트
            중부권을 대표하는 지역중심대학으로 주목받고 있다.                      e-모빌리티 산업 인재 양성은 국내외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
            특히 스마트모빌리티공학부(기계자동차공학부)는 한국대학교육                  다”면서 “향후 미래차 산업 발전을 위해 양 기관이 다양한 분야에
            협의회의 ‘2020산업계 관점 대학평가’에서 기계(자동차) 분야 최            서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수학과에 선정되는 등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 자동               김응천 한라대 총장은 “세계 유일의 순수 전기차 엑스포를 주최
            차와 지능로봇,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트랙 등으로 특화된 교육과              하는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와의 MOU는 한라대의 산학 경쟁
            정을 운영하고 있다.                                      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엑스포의
            (사)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는 ‘전기차의 다보스포럼’을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성장과 함께 스마트 e-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선도할
            순수 전기차 엑스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오는 5월 4일부터 7일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는 데 양 기관의 협력이 큰 시너지 효과를
            까지 제8회 엑스포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내 유일 ‘인공지능(AI)’ 광주경제자유구역청 개청                     적 강당에서 개청식을 개최했다.
                                                              광주경제자유구역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제2차 경제자유구역 기
                                                              본계획에 따라 지난해 6월 ▲미래형자동차 산업지구-빛그린국
                                                              가산단 ▲스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Ⅰ-에너지밸리일반산단 ▲스
                                                              마트에너지 산업지구Ⅱ-도첨국가산단 ▲AI 융복합지구-첨단3
                                                              지구 등 4개 지구 4.371㎢가 지정됐다.
                                                              광주경제자유구역청은 ‘광주형 일자리’와 ‘AI’를 기반으로 광주
                                                              의 미래 먹거리 산업구조를 재편해 국내 유일의 ‘AI 경제자유구
                                                              역’으로 운영하기 위해 국내외 투자유치를 전담하고 혁신성장
                                                              신산업 유치, 규제 특례 활성화를 포함한 신산업 투자지원 등을
                                                              실시한다.
            국내 유일의 ‘AI 경제자유구역’의 운영을 맡을 광주경제자유구                특히 이날 개청식과 더불어 AI기반 신산업 혁신생태계 구축과 광주
            역청이 문을 열었다.                                       형 일자리 확대를 위한 3건의 투자유치 및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광주광역시는 지난달 27일 첨단3지구 광주이노비즈센터 다목                  먼저 중국 투자기업 유치를 위해 중국공상은행의 한국법인과 외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