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4 - EV_Magazine_Vol_11.pdf
P. 104

김수종 Column





                                                       문재인 한국 대통령도 이 정상회의에 초대됐다. 문 대통령은 ‘2050 탄소중
                                                       립 실현을 위한 한국의 강화된 기후대응 행동’을 천명했다. 또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전 세계적인 탈석탄 노력에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그렇지만 ‘기후정상회의’에 참가한 나라들의 입장은 미묘한 차이를 보이면
                                                       서 바이든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 흐름을 견제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바이든과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는 바이든의 제안에 동참 의
                                                       지를 표하면서도 자국 입장에 대해서는 양보하지 않았다.
                                                       바이든의 방향에는 공감하고 협력하되 주도는 유엔이 주도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는 것이다. 미국에게 일방적으로 끌려가지는 않겠다는 의지다.
                                                       개도국들도 국가별 실정을 감안해 탄소배출이 많은 선진국과는 다른 차별
                                                       화된 책임을 주장했다.
                                                       결국 이번 기후정상회의는 트럼프가 상실했던 글로벌 기후변화 리더십 상
                                                       실을 바이든이 회복하겠다는 의지는 확인했지만, 갈 길이 만만치 않다는 현
                                                       실도 확인한 자리였다.
                                                       작년 COVID-19로 연기됐다가 열리는 ‘COP26’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
                                                       다. 195개국 협정 가입국이 제출한 온실가스 자발적 감축계획 실행이 시작
                                                       되는 해가 올해다. 즉 그동안 파행적이고 상징적으로 명맥을 유지해오던 교
                                                       토의정서를 대신해서 보다 효과적이고 규모가 큰 파리협정이 효력을 발휘
                                                       하게 된다.
                                                       유엔환경계획이 주관하는 올해 ‘COP26’은 사안의 중대성에 비춰 세계 정
                                                       상들이 대거 참석하는 실질적인 기후정상회의가 될 것이 확실해 보인다.
                                                       ‘2050년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첫해에 열리는 기후정상회의여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5월말 열리는 ‘2021 P4G 서울정상회의’도 의미가 있다.
                                                       이 회의 명칭은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로 편의상 P4G란 약자
                                                       로 통용된다. 이름이 말해주듯 포괄적인 환경문제를 협의하는 다자 정상회
                                                       의로서 농업·식량, 물, 도시, 에너지, 순환 경제 등 5대 중점 분야를 토대로
                                                       지속 가능 개발 이행방안을 추구하기 위해 한국, 덴마크, 네덜란드, 베트남,
                                                       멕시코, 칠레, 콜롬비아, 케냐,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남아
                                                       공 등 12개 회원국으로 2017년 구성되었다.
                                                       P4G는 2년마다 정상급 회의로 열리게 된 것이다.
                                                       P4G는 정부만이 아니라 국제기구와 기업, 학계, 시민단체가 연대를 통해
                                                       참여하는 다자협력체제다. 제2차 정상회의를 주관하는 한국 정부가 P4G
                                                       정신을 어떻게 구현하느냐가 관심거리다.
                                                       파리협정 실행 첫 회를 맞아 열리는 환경관련 정상회의로서 P4G와
                                                       COP26는 상호 의미 있는 관계를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은
                                                       2020년 기준 GDP 세계 10위로 올라섰으며, 온실가스배출은 9위(2019
                                                       년)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따
                                                       라서 한국의 P4G정상회의 주관을 예의주시할 것이다.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